반응형 기업분석3 [기업분석] 더존비즈온 - 자기자본이익률(ROE), 주가수익비율(PER) 등 지난 번에는 더존비즈온의 매출액과 영업이익, 부채비율과 현금비율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ROE와 PER 등 투자지표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자기자본이익률(ROE) 더존비즈온의 ROE는 2017년에 23.49%로 최고점이었고 그 후로 매년 조금씩 하락해왔습니다. 'ROE = 순이익 / 자본' 이므로 해마다 같은 순이익 수준을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매년 자본이 늘어감에 따라 그 비율이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ROE를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것은 순이익이 매년 일정비율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가 되겠죠. 더존비즈온의 경우에도 당기순이익이 연평균 20%씩 늘었는데 자본총계는 연평균 32%씩 증가하여 분자보다 분모의 증가폭이 크기 때문에 ROE가 점점 감소할 수밖에 없었습니.. 2021. 7. 11. [기업분석] 더존비즈온 - 매출액과 영업이익, 부채비율, 현금비율 분석 오늘은 제 국내주식 포트폴리오에서 7.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더존비즈온'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더존비즈온은 제가 주식투자를 본격적으로 시작한지 얼마 안 되었을 때, SK하이닉스 말고는 보유 중인 주식이 없을 때 '뭐, 다른 투자할만한 기업이 없을까?' 하다가 투자를 시작한 기업입니다. 대단한 분석을 한 후 투자를 시작한 게 아니라 투자 아이디어는 단순했어요. 어느 날 저희 회사 공용메일을 열었는데 회계프로그램인 '더존' 정기결제 관련 메일이 온 걸 보게됐어요. 그 때쯤인 한창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책을 읽고 있었던 때로 기억해요. 피터 린치는 그 책에서 증권가의 유명 펀드매니저들보다 생활 주변에서 투자 아이디어를 얻고 성장기업을 찾아 투자에 성공한 사례가 더 많다는 말을 많이 했어요... 2021. 7. 4. 좋은 주식은 좋은 '기업'의 주식이다. 주식투자를 시작하고 가장 먼저 맞닥뜨리게 되는 난관은 아마도 '어떤 주식을 사야 할까?' 이지 않을까 생각한다.당장 네이버 증권에 들어가서 국내 주식 목록만 보아도 생전 처음 보는 생소한 이름들의 주식 종목들이 수백도 넘게 이어져 있으니 말이다. 그러다보니 주식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이 빠지기 쉬운 함정과 같은 곳이 '주식리딩방'이다.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아마 다들 경험이 있겠지만, 전에는 한 번도 그런 적이 없었는데 주식투자를 하고 나서부터 신기하게도 SNS나 문자, 전화 등으로 좋은 주식을 추천해준다는 홍보가 꾸준히 들어온다.특히, 일주일만에 200% 수익을 냈다느니, 300% 수익을 냈다느니 하면서 유혹을 하면 아무것도 모르고 주식투자에 대한 환상만 가지고 투자를 시작하는 대부분의 개미 투자.. 2021. 5. 2. 이전 1 다음 반응형